본문 바로가기

CCTV기술 알아보기

스마트폰으로 CCTV보는방법 [DVR]

스마트폰으로 CCTV를 보고자 한다면 우선은 아래의 그림처럼 DVR이 인터넷에 연결이 되어야 합니다.

DVR이 인터넷에 연결이 되어있으면 DVR의 제조사를 확인하여 스마트폰의 어플을 Download 및 설치를 하시면 됩니다. DVR의 종류도 너무 많고 제조사도 많아서 보다 정확한것은 보유하고 있는 DVR의 정보를 직접  확인하셔야 합니다.

자..일단은 DVR을 인터넷에 연결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 정도로 나누어 집니다.

1, 인터넷 웹상에서 많이 나와있는 DDNS사용하여 연결

     -. 이 방법은 쉽게 말하면 DVR 제조사가 DVR의 인터넷주소를 제공 해주는 서비스라고 보시면 됩니다.

     -. 이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위 그림에서 인터넷공유기 라는 놈에게 포트포위딩 이나 공유기에 DMZ설정등을

        해줘야 합니다.

      예전 등록된 글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https://blog.naver.com/sangsang-is/221035020488

 

2, 공인 IP주소 로 연결하기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등 기가인터넷을 신청하는 경우에 그림과 같은 광 모뎀을 많이 볼수 있습니다.

이 모뎀은 광케이블로 인터넷 서비스를 하며 모뎀에 네트웍 케이블을 4개의 포트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모뎀을 사용하는 경우는 직접 이 모뎀에 DVR을 직접연결하시면 DVR에 공인 IP주소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공인IP주소 / 비공인IP주소 등 일반인은 생소한 단어가 나오는데요..

공인IP주소는 : 인터넷서비스업체(ISP)가 제공해주는 IP주소로 그냥 URL같이쓰셔도 됩니다.

비공인 IP주소 : 공유기를 사용하면 공유기가 제공해 주는 IP주소로 "192.168.0.xx"로 많이쓰임.

DVR의 네트워크 주소를 확인하셔서 아래 그림처럼 스마트폰의 어플에서 장치의 정보에서 IP주소를 직접

적용을하시면 아주 간단하게 스마트폰으로 CCTV를 접속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서비스의 업체에 따라 공인IP가 아닌경도 있을수 있습니다."

 

3, P2P[QR코드]로 연결하기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소규모 사업체에는 여러 유형의 인터넷서비스를 사용하다 보니 CCTV의 DVR을 인터넷에

연결할때 많은 기술적 문제가 발생을 합니다.

DVR과 공유기의 기술적 특성등 DVR을 인터넷에 연결하기가 저희 엔지니어도 힘든경우가 많습니다

DVR 제조사에서 제공한 하는 P2P기술을 이용하여 한장의 "QR코트"를 촬영과 동시에 모든 설정이 완료 됩니다.

DVR의 메뉴설정에서 네트워크주소를 확인하시고 Magic IP의 "이름" 부분을 기억하기 좋은 이름으로

개인이 설정을 하시면 "QR코드"가 만들어지고 스마트폰의 어플에서 "QR코드 등록"을 선택후 카메라로

DVR의 QR코드를 촬영하시면 모든 세팅이 자동 설정됩니다.

자 ...이제 별도의 공유기 설정없이 스마트폰 으로 CCTV를 확인 할 수있습니다.

 

스마트폰 어플은 Mr.Patrol로 하였습니다.

사업자 정보 표시
상상정보시스템 | 박병주 | 서울 금천구 시흥동984 시흥유통상가 15동207호 | 사업자 등록번호 : 727-51-00183 | TEL : 02-896-2373 | Mail : cctvkorea07@gmail.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16-안양동안-0767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CCTV기술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CTV 인터넷 연결하기  (1) 2018.10.05